전립선비대증이란?

전립선 비대증이란 말 그대로 전립선이 비대해 지는 질환입니다. 전립선은 성 호르몬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전립선이 커지므로 소변 나오는 통로가 좁혀져서 배뇨시 힘이 들거나 소변줄기가 가늘어지고 배뇨 후에도 잔뇨감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또한 방광을 자극하여 자주 소변을 보고 싶은 느낌이 들고 혈관이 충혈되어 배뇨시에 피가 나오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남자가 35세가 되면 전립선이 비대를 시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므로 오래 장수를 한다면 모든 남성들은 전립선 비대증 환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립선이 커진다고 하여 모두가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고 전립선이 비대해져서 방광 하부 막힘 증상이나 방광 자극 증상을 보이는 사람에 한하여 전립선 비대증 환자라 할 수 있습니다. 전립선 비대증을 장기간 방치 할 경우에는 방광과 콩팥이 손상을 입을 수도 있고 심하면 요독증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고령층에서 많이 발생하는 데 60대의 60%가 80대의 80%가 전립선 비대증 환자입니다.

전립선염의 원인

전립선비대증의 증상과 특징

  1. 01

    소변

    전립선이 커져서 요도를 압박하므로, 소변 시작이 힘들고, 소변 줄기가 약해지고, 잔뇨감이 느껴지며, 소변을 자주 보는 등의 다양한 배뇨증 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것은, 소변의 통로인 요도가 비대된 전립선으로 막히면, 방광은 소변을 밀어내려고 자꾸 힘을 주어 과도한 수축을 하게 되므로 방광벽이 두꺼워져 불안정한 수축상태의 방광이 되기 때문입니다.

    결국, 소변을 시원하게 보지 못하여, 심한 경우 신장기능이 마비되는 신부전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02

    성기능

    전립선비대증은 당뇨와 고혈압 그리고 심혈관질환의 환자에서 자주 동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대로 간경화증 환자에서는 전립선 비대증의 발생이 낮은 바, 이는 스테로이드의 대사에 이상이 발생하여 상대적으로 에스트로겐과 성호르몬 결합 단백질이 증가되어 남성호 르몬의 자극효과로부터 전립선 기질을 보호하므로 가능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전립선비대증 그 자체는 성기능 장애의 원인은 아니지만 사 정이 빨라졌다. / 발기력이 약해졌다. / 발기지속시간이 줄었다. / 성욕이 감소했다. / 사정시 극치감이 줄었다./ 사정시 통증이 있다./ 혈정액증이 있다. 등등의 증세를 호소경우가 많습니다.

전립선비대증의 치료

  1. 01

    약물요법

    호르몬계통에 작용하여 전립선 크기를 줄이는 알파환원효소억제제와 교감신경 알파수용체를 차단하여 요도의 압박을 감소시키는 알파 차단제가 대표적입니다. 알파 차단제의 작용기전 방광경부와 전립선 평활근을 이완시켜 요속이 증가됩니다.

    첫째, 경도나 중등도의 증상이 있는 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 둘째, 전립선 비대는 심하지 않지만 배뇨 증상이 심한 환자에서, 셋째,심신장애 로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수술치료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 시행합니다.

  2. 02

    외과적 수술

    심한 양성 전립선비대증의 치료방법으로 외과적 수술이 수년동안 사용되어왔습니다. 외과수술을 받아야 하는 사람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 중 하나 이상이 있는 사람들입니다.

    급성 요폐(Acute urinary retention,AUR: 소변을 전혀 보지못한 는것), 소변의 신장 역류로 인한 신장손상, 빈번한 비뇨기 감염, 양성 전립선비대증에 의한 심한 출혈, 방광 결석이 있는경우입니다 수술적 치료는 전립선 비대증으로 인한 합병증이 동반되어 있거나 약물요법으로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 경우, 또는 약물요법보다는 좀 더 적극적인 치료를 요하는 경우(갑자기 소변을 전혀 보지 못하는 경우, 혈뇨가 나오는 경우, 방광결석이 동반된 경우, 반복적인 요로감염이 있는 경우 등)에 시행합니다.

    전립선의 위치, 크기, 환자의 건강상태 또는 다른 내과적 문제들을 고려하여 수술여부 내지 치료방법을 결정하게 됩니다.

비대한 조직을 제거하는 수술
음경을 통해 기구를 삽입하여 요도와 방광을 막고 있는 전립선 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일명 경요도 전립선절제술(Transurethral Resection of Prostate, TURP)이라고 합니다. 수술은 경막외 마취나 척수마취, 가벼운 전신마취하에 시행하며, 수술후 배뇨증상에 상당한 호전을 보이나 10-20%는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보일 수 있으며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발기부전, 오심, 구토, 고혈압, 출혈, 요실금 등이 일반적인 부작용으로 일어날 수 있으며 사정 시 정자가 역행하여 방광으로 들어가는 역행성 사정이 가장 큰 단점입니다.
레이저 전립선 절제술
레이저를 이용하여 전립선 조직에 고열을 가하여 조직의 기화나 응고괴사를 일으키는 방법으로 대부분 출혈이 적고 입원이 필요하지 않으며 부작용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치료 후 초기에는 전립선조직의 종창이 있고 또 괴사된 조직이 오랜 기간에 걸쳐 탈락되어 요로감염 등 요로자극증상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