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염의 정의

오줌소태라고 하는 병으로 흔히 여성에게 많이 생기며, 요도로부터의 상행성 감염이 대부분이고 여성에게 호발요인이 많으므로 여성에게 빈번하게 생긴다.

여성의 호발요인은 특이한 해부학적 특성, 성생활, 요도자극, 임신 등이 원인이 되어 항문 및 질주위에 상주세균이 용이하게 상생성으로 방광에 침습하여 방광에 염증을 일으킨다.

방광염의 증상

  1. 01

    급성 방광염의 증상은 빈뇨(하루 8회 이상 소변을보는 증상)

  2. 02

    요절박(강하고 갑작스런 요의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증상)

  3. 03

    배뇨시 통증, 배뇨 후에도 덜 본 것 같은 느낌

  4. 04

    허리 통증 및 치골 상부(성기 위쪽의 돌출된 부분)통증

  5. 05

    혈뇨와 악취가 나는 •혼탁뇨가 동반

방광염의 특징

발열이나 오한 등의 전신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만성 방광염은 증상이 없는 무증상의 경우를 포함하여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데, 대개 급성 방광염의 증상이 약하게 나타나거나 간헐적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방광염의 진단

방광염의 진단은 임상 증상과 요 검사에 의해 이뤄집니다.

급성 방광염은 여성의 외음부 질염 증상과 유사하므로 질 분비 검사와 내진을 통해 감별을 하며, 급성요도증후군도 급성 방광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지만 요 배양 검사에서 세균 검출이 적은 특징이 있습니다.

신장의 감염은 발열과 옆구리 통증 같은 아랫배 복부 통증을 호소하므로 급성 방광염과 구별할 수 있습니다. 만성 방광염은 결핵, 요도염증후군 등과 유사하지만 소변검사나 배양검사 등으로 감별할 수 있습니다.

검사

요(소변)검사와 요(소변)배양 검사입니다.

요 검사 상 소변에 고름이 섞여 나오는 농뇨, 세균뇨 및 혈뇨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요 배양 검사는 세균 감염의 확진 및 동정, 향균제 감수성 검사 등을 위해 시행합니다.

혈액검사 결과는 대개 정상이므로 시행하지 않습니다. 혈뇨가 동반된 경우 출혈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내진 및 초음파 검사를 시행 할 수도 있습니다.

방광염의 치료

급성 방광염의 치료는 적절한 항생제의 사용으로 치료를 시행합니다.

만성 방광염의 경우는 장기간의 항생제 투여를 고려해야 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만성 방광염의 유발 요인을 찾아 이를 교정해야 합니다.

경과

합병증 급성 및 만성 방광염의 가장 중요한 합병증은 상행성 감염에 의한 신장감염으로 예를 들 수 있습니다.

특히 임산부에서 상행성 감염(하부기관에서 상부기관으로 감염)이 자주 발생하나 대개는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통해 쉽게 치유되며, 별다른 후유증을 남기지 않습니다.

예방

적당량의 수분 섭취는 체내의 세균을 몸 밖으로 배출시키므로 방광염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서 방광염이 재발하는 경우에는 여성 호르몬을 보충하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